"휴진 철회해라" 성난 여론…서울대병원 교수들 결국 진료복귀
교수 투표서 74% "휴진 중단"…닷새만에 현장 복귀
비대위 "국민 목소리 외면 못해…환자 피해 그대로 둘 수 없어"
2024-06-21 22:22:06 2024-06-21 22:22:06
[뉴스토마토 유근윤 기자] 무기한 휴진을 선언했던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닷새만에 현업으로 복귀키로 했습니다. 지난 17일부터 이어졌던 무기한 전면 휴진을 중단하기로 한 겁니다. 다만 "앞으로 닥칠 의료계와 교육계의 혼란과 붕괴의 책임은 전적으로 정부에 있다"며 "계속 저항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이하 서울대병원 교수 비대위)는 21일 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서울시보라매병원, 서울대병원강남센터 등 4곳 병원 전체 교수 대상으로 투표를 실시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알렸습니다. 
 
2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사진=뉴시스)
  
투표 결과 전체 응답자 948명 중 698명(73.6%)이 '휴진을 중단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의 저항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휴진을 지속해야 한다는 의견은 192명(20.3%)이었습니다. 구체적인 활동 방식에 관한 질문에는 75.4%가 '정책 수립 과정 감시와 비판, 대안 제시'가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55.4%는 범의료계와의 연대가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65.6%의 교수들은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고려해 지속 가능한 적정 수준으로 근무시간을 조정해야 한다고 봤습니다.
 
비대위는 지난 6일 정부에 전공의 행정처분 취소 등을 요구하며 무기한 휴진을 결의했고, 17일부터 응급·중증·희귀질환 등을 제외한 외래 진료와 정규 수술, 시술을 중단했습니다. 네 곳 병원의 진료 교수 중 54.8%가 휴진했습니다.
 
하지만  환우회 등은 휴진 결정을 철회해 달라고 호소했고,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내달 4일 '의사 집단휴진 철회 및 재발 방지법 제정 촉구 환자 총궐기대회'를 개최하기로 하는 등 여론은 계속 악화했습니다.
 
강희경 비대위원장은 "전면 휴진 기간에도 미룰 수 없는 중증·난치·응급 환자에 대한 진료는 유지했으나 서울대병원 특성상 현 상황이 장기화됐을 때 진료 유지 중인 중증 환자에게도 피해가 생길 수 있다"면서 "전면 휴진을 중단하는 것은 당장 지금 발생할 수 있는 환자 피해를 그대로 둘 수 없기 때문이지 무능한 불통 정부의 설익은 정책을 받아들여서가 아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강 위원장은 "정부의 무책임한 결정으로 국민 건강권에 미치는 위협이 커진다면 다시 적극적인 행동을 결의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유근윤 기자 9nyoo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병호 공동체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