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카드대출 상환 유예' 대출 문턱 높였다
정부 코로나대책 부작용 / 2금융권 연체체권 확산 / 그럼에도 상환 재연장 추진
2020-08-12 16:05:03 2020-08-12 16:05:03
[뉴스토마토 김응태 기자] 코로나19와 수해 등에 따른 정부의 대출금 상환 유예 조치가 대출 문턱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졌다. 특히 카드사들은 유예기간이 마무리되는 내년부터 부실이 한 번에 터질 수 있다는 위기감 탓에 대출 심사 강화에 나섰다. 그럼에도 정부는 상환유예 조치를 재연장키로 해 리크스가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대출금 상환 유예 조치가 잇따라 도입되면서 본격 만기가 도래하는 내년에 제2금융권에서 부실 위험이 커질 것에 대비해 대출 심사 문턱을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에 위치한 한 은행의 대출창구. 사진/뉴시스
 
12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코로나 여파로 올해 4월부터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대상으로 최소 6개월 이상' 대출 원금상만기연장 및 이자상환 유예' 조치를 시행한 데 이어, 집중호우로 피해를 본 금융기관 대출이용자도 6개월간 원리금 상환 유예가 지원된다. 더욱이 코로나가 장기화하면서 금융위는 지난 4월에 실행된 대출 원리금 상환 유예를 재연장하기로 사실상 확정했다. 
 
대출금 상환 유예 정책이 연이어 시행되자 카드사 등 2금융은 리스크 관리에 돌입했다. 시중은행보다 상대적으로 저신용자 이용이 많은 2금융권의 경우 상환 유예 기간이 도래하는 내년에 부실률이 급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원리금 상환이 유예되면 이자납입 추이를 통한 신용 평가가 어려워지는 것도 한 이유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고객의 대출 원금이나 이자 상환을 유예하게 되면 상환 능력이 있는지 판별할 방법이 없다"며 "상환 능력을 확인할 수 없는데 막판에 한 번에 부실이 몰리면 리스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도 "기본적으로 채무 상환이 연장되면 리스크는 높아진다"고 말했다.
 
카드사와 저축은행 등 2금융권 연체채권 규모는 이미 확산 추세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8개 전업 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비씨)의 '1개월 이상 연체액' 규모는 1조4564억원으로 지난해 12월 말(1조3984억) 대비 약 600억 증가했다. 저축은행 79곳의 올해 1분기 말 연체금액은 2조7121억원으로 전년 말(2조4344억)보다 약 3000억원 늘었다.
 
이에 따라 2금융권에선 올 하반기부터 대출 심사 기준 강화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리스크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선 부실 위험이 높은 대출 취급을 줄이거나 대출 한도를 낮출 수밖에 없다. 카드업계 한 관계자는 "연체율이 높아지면 원칙적으로 대출 심사를 강화하고 한도 기준을 낮게 적용한다"고 말했다.
 
이미 일부 업체들은 자산 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선제적으로 대출 심사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손충당금이 줄어든 게 그 근거다. 대손충당금은 회수가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해 비용으로 처리하는 회계계정이다. 통상 위험도가 낮은 상품을 취급할 경우 충당금 규모가 감소한다. 일례로 올해 상반기 하나카드의 대손충당금 규모는 1143억원으로 집계돼, 전년 동기(1214억) 대비 5.8% 감소한 바 있다.
 
한국은행 역시 올해 3분기 비금융기관의 대출태도가 강화되고, 신용위험은 전 업권에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경기 불확실성 증대를 비롯해 차주의 채무상환능력 저하 가능성에 따른 여신건정성 관리가 중요해질 것이란 이유에서다. 이밖에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또한 대출 심사 허들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았다.
 
한편 지난 4월부터 실행된 코로나 취약 차주 대상 만기가 연장된 대출금액은 73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시중은행, 제2금융 등 민간 금융회사에서 연장한 대출이 50조9000억을 차지했다. 
 
김응태 기자 eung1027@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